강좌

|  다양한 분야에 다소 전문적인 도움이 되는 강좌들입니다.

2016.07.13 23:48

NVIDIA FastSync

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Extra Form

얼마 전 엔비디아의 첫 파스칼 미들칩 GTX 1080의 공개와 함께 GPU Boost 3.0과 Fast Sync라는 기술이 같이 소개되었습니다.

 

NVIDIA Fast Sync는 게임 중 화면의 주사율을 넘어가는 프레임이 유지될 때 일어나는 화면이 찢기는 현상, 일명 티어링 현상을 방지하는 기술로, V-Sync, G-Sync와 비슷한 기능입니다.

 

V-Sync의 대체재라고 보시면 되지만, 기존의 V-Sync의 느린 응답 속도를 보완한 기능이라고 보시면 쉽습니다.

 

다만 V-Sync 처럼 프레임 제한을 걸어서 60 프레임 이상일 시 60 유지, 그 이하일 시 30 유지를 하는 방식이 아닌 기존의 프레임을 유지하며 티어링 현상을 줄이고, 수직 동기화의 고질적 문제인 느린 응답 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합니다.

 

그리고 G-Sync와는 다르게 딱히 특별한 모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서,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Enable 하는 것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네요.

 

그리고 현재 구공정 모델들도 368.25 드라이버 설치 후 NVIDIA Inspector를 이용한 Fast Sync 사용이 비공식적으로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선 구공정 모델들도 시간이 지나는대로 정식 지원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입니다.

 

=> 해당 항목은 아래 레딧 스레드를 참고하세요. 게시글 작성자는 Maxwell 그래픽카드 사용자라고 합니다.

(해당 스레드를 따름으로써 발생할 혹시 모를 문제에 대해서 저는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. 설정 후 문제를 겪었다는 코멘트도 있습니다.)

https://www.reddit.com/r/nvidia/comments/4l86nm/fast_sync_is_available_right_now/

 

(현재로서는 368.25 드라이버에서 파스칼 정식 지원)

 

 

m__719fa2de68ae1bf468da368e619e772016109

 

원리는 기존의 Front Buffer, Back Buffer 이외의 세번째 버퍼인 LRB_Last Rendered Buffer 이라는 새로운 버퍼를 추가했다고 하네요.

 

이 LRB는 Front Buffer가 프레임을 스캔하는 동안 가장 최근의 Back Buffer가 렌더한 마지막 프레임을 홀드하고, 프레임 스캔이 끝나면 LRB 데이터를 Front Buffer로 복사한 후 다음 Back Buffer 렌더한 가장 최근의 프레임을 홀드 하는 방식을 반복시키는 것이라고 하네요. (_이 부분은 전문가의 정확한 설명이 더 필요할 듯 하네요.)

 

 

m__e7e8f2da4faf8a37ecba3149d7844e8c16109

(NVIDIA Fast Sync의 Pipeline)

 

 

-------------

 

방금 노트북으로 레딧 스레드 실험해봤습니다. 스펙은 맥스웰 GTX 970M 논옵티머스 기준이고, 디스플레이는 주사율 60hz입니다.

 

오버워치 최하옵으로 놓고 테스트 해봤는데 일단 설정은 먹는 것 같긴 하네요. 크래쉬나 블루스크린도 없습니다.

 

 

NVIDIA Inspector 설정에서 _GLOBAL_DRIVER_PROFILE 아래에서 설정 시

 

NVIDIA 제어판 3D 관련 메뉴에서 Vertical Sync 옵션이 Custom으로 변경되고,

 

게임 플레이 시 전체화면에서 프레임이 120 위주로 고정되고 그 주변에서 놉니다. 인풋렉은 없다시피하고 티어링도 없는 것 같네요.

fullscreen windowed에선 120 근처에서 머무르는 프레임 제한이 완전히 풀리고 마찬가지로 인풋렉은 없다시피하고 티어링도 없는거같구요.

 

근데 설정을 안줬을 때도 제가 막눈이라 그런지 티어링이 매우 적어보여서 실제로 티어링이 없어진 것 같긴 하면서도 있는 것 같고 그러네요. 티어링이 저한테는 예전부터 눈에 별로 안띄어서 크게 차이점이 보이는 것 같지 않습니다.

 

참고 링크: http://www.hardwarezone.com.sg/review-nvidia-geforce-gtx-1080-review-new-king-crowned/gpu-boost-30-and-fast-sync


강좌

다양한 분야에 다소 전문적인 도움이 되는 강좌들입니다.

List of Articles
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공지 앞으로 ssh 사용시 한글 사용이 가능합니다. 7 마스터 2018.10.12 12884
공지 접속 불가 사태 수습은 진행중입니다. 35 마스터 2018.10.05 13526
공지 회원 전용 페이지가 생겼습니다. 10 file 마스터 2018.03.20 14157
186 라이츄 과학츄 20. 알레르기츄 3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8.10.03 131
185 웹앱 개발 강좌 3. Cordova 프로젝트 생성 6 file 네모 2017.10.23 1799
184 라이츄 과학츄 3. PCR이츄 2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03 346
183 Doge의 잡것 프로그래밍 3.디스코드 봇을 만들어보자 (준비 편) 5 file Doge아시다시피 2018.02.23 2236
182 Doge의 잡것 프로그래밍 4. 디스코드 봇을 시작해보자 file Doge아시다시피 2018.05.08 1588
181 웹앱 개발 강좌 4. 숫자야구 게임 앱을 만들어 봅시다! 4 file 네모 2017.10.24 593
180 라이츄 과학츄 4. 전기영동이었츄 18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06 435
179 라이츄 과학츄 5. 센트럴 도그마와 4대 블로팅이었츄 4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09 387
178 라이츄 과학츄 6. 과학자들의 빵터지는 네이밍 센스에 대해 알아보겠츄 6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14 296
177 라이츄 과학츄 7. 핵산에 대해 알아보시츄! 9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15 479
176 라이츄 과학츄 8. 아미노산에 대해 알아보시츄 8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21 698
175 라이츄 과학츄 9. 한타바이러스였츄 1 file 허니버터뚠뚜니라이츄 2017.11.30 436
174 강좌 CCleaner를 이용해 시스템 정리하기 5 file CharCoal 2016.10.15 301
173 강좌 CentOS 6.X (6버전 모두 해당)에 웹서버 세팅을 해보자! LuisK 2016.08.18 440
172 강좌 DN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: 1. DNS 질의 절차 따라가 보기 3 abnoeh 2018.03.27 551
171 강좌 DNS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: 2. 각 DNS 레코드의 기능 2 abnoeh 2018.03.30 310
170 강좌 exeplorer.exe 빠르게 종료하기 title: 황금 서버 (30일)하루살이 2016.11.01 385
169 강좌 Filezilla 사용시 사소하지만 중요할 수도 있는 원칙. 8 Nodeulnaru 2016.09.26 376
168 강좌 Gimagex로 wim파일에서 원하는 이미지파일 추출하기 막시모:) 2016.08.02 361
167 강좌 Hanam09 의 보안(?)강좌 22 Hanam09 2017.11.18 616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
/ 11
서버에 요청 중입니다.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...